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1963건
,
73
/
393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1603
[칼럼] 최고의 선수·사업가가 최고 멘토 되는 건 아냐
위치 확인
[김경일, 심리학과 교수] 살다 보면 이런 경험을 종종 하곤 한다. 그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에게 받은 조언보다 오히려 의외의 사람에게서 받은 조언이 더 도움이 되고 실제로도 자신을 향상시키는 데 더 큰 도움이 되는 경우 말이다. 하지만 사회와 조직은 대부분 그 분야에서 최고가 되었거나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의 이야기에서만 주로 배우려고 한다. 도대체 어떤 말이 맞는 것일까? 그리고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매우 절묘한 연구 한 편이 최근에 발표됐다. 하버드대 경영대학의 심리학자 데이비드 레바리 박사가 그의 스승인 댄 길버트 교수와 함께 공동 연구한 결과다. 연구진은 일단 1013명의 참가자들에게 주어진 알파벳 3~4개를 갖고 단어를 만들어내는 이른바 단어 스크램블 과제를 하게 했다. 이 과제를 선택한 이유는 개인차 즉, 과제 수행 점수가 참가자들 간에 매우 큰 폭의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게임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상위 그룹과 그렇지 못한 중위권 그룹이 선발된다. 이들은 각각 이후의 새로운 참가자 2000명에게 어떻게 하면 단어 스크램블을 잘할 수 있는지 조언하도록 했다. 이 참가자들에게는 자신이 어떤 그룹의 조언을 받고 있는지도 알려줬다. 지침은 분명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다. 상위든 중위든 이전 참가자들로부터 조언을 받은 사람들의 점수가 게임의 횟수가 더해지면서 더 빠르게 향상됐기 때문이다. (하략)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2/07/595533/
1602
작성자
커뮤니케이션팀
작성일
2022-07-07
2998
동영상
동영상
김경일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01
[기고] 우리는 제2,제3의 허준이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위치 확인
[박형주, 수학과 석좌교수] 많은 한국 수학자들이 꿈 같다고 표현하는 일대 사건이 일어났다. 한국과 미국에서 활동하는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고등과학원 석학교수)가 2022년 필즈상을 받은 것이다. 4년에 한 번 만 40세 미만의 젊은 수학자 2~4명에게 수여하는 수학 분야 최고의 상으로 노벨상과 같은 권위를 갖는 상이다. 물론 허 교수 연구 업적의 탁월함 때문이지만, 제2,제3의 허준이를 기대하며, 한국 수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측면도 함께 생각해 보려 한다. 허교수는 부모님의 미국 유학 중에 미국에서 출생했지만, 2살 때부터 줄곧 한국에서 살았고 방일초등학교와 이수중학교를 거쳐서 서울대에서 학사와 대학원 석사까지의 모든 교육을 국내에서 받았다. 미국 박사 과정 때는 서울대 석사 과정에서의 연구 주제에 기반을 둬서 독립적으로 유명한 난제를 풀었다. 그러니 개인의 천재적 재능과 결부된 한국 교육 시스템의 산물임이 분명하다. 유명해지고 나서도 각종 국내 학회에 열정적으로 참가해 왔고 최근엔 고등과학원 석학교수 역할도 수행하면서 국내 대학원생들과 젊은 연구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앞으로 한국 수학의 미래에 더 큰 역할이 기대되는 이유다. 그는 이미 대학원생 시절에 세계 최고의 학술지인 미국수학회지와 듀크 수학 저널에 논문을 게재했고 미국의 주요 대학들에서 초청 강연을 한 스타였다. 당시 우연히 만난 미국수학회지 편집위원인 베른트 스텀펠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가 이렇게 창의적인 방식으로 조합론 문제에 접근하고 수십 년 난제를 풀어낸 것이 놀랍다며 한국 대학들도 이 대학원생을 초청해서 강연을 들어보라고 권했던 기억이 난다. 대학원에서 전공을 수학으로 바꾼 늦은 출발 후에 얼마 되지 않았던 때라서, 미국의 어느 기사에서는 표현하기를 마치 18세에 처음 테니스 라켓을 잡은 사람이 20세에 윔블던에서 우승한 것과 같다라고 그의 놀라운 성취를 표현했다. (하략)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5208
1600
작성자
커뮤니케이션팀
작성일
2022-07-06
2935
동영상
동영상
박형주 총장.gif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599
[칼럼] 리더 간의 갈등을 최소화하려면
위치 확인
[조영호, 경영학과 명예교수] 김 사장은 창업 때부터 같이 고생한 곽 전무에게 항상 감사하고 있었다. 영업을 맡은 곽 전무는 정말 회사 일을 자기 일처럼 생각하고, 희생적으로 일해주었다. 그래서 김 사장은 기회 있을 때마다 "곽 전무는 내 부하가 아니고 동업자야. 나중에 내가 주식도 반반으로 해줄게"하고 이야기했었다. 그리고는 이제 때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곽 전무에게 자신의 주식 일부를 양도해주고 지분을 50대 50으로 만들어주었다. 그런데 이때부터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직원들을 따로 불러서 지시를 내리는데 자신이 이미 결정 내려놓은 것도 뒤집어 놓는 것이었다. 김 사장이 모르는 사이 곽 전무는 이미 조직을 두 쪽으로 갈라놓고 있었다. 주식 50%를 가진 후로는 전면적으로 자신에게 도전하는 것이었다. 곽 전무와 독대하면서 이 문제를 거론할 때는 예의 바르게 대했지만 돌아서서 하는 행동은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게다가 거래처에서는 그가 사장이나 다름없었다. (하략) http://www.ihsnews.com/43855
1598
작성자
커뮤니케이션팀
작성일
2022-07-05
3261
동영상
동영상
조영호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597
[시론] 대구 세계가스총회(WGC) 후기(後記)
위치 확인
[최기련, 에너지학과 명예교수] 대구에서 열린 제28회 세계가스총회(WGC)가 5월 27일 무사히 끝났다. ‘가스 기반의 지속 가능한 미래’라는 주제 아래 세계 80개국에서 외국인 4500여명을 포함하여 약 2만명이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최 측은 가스시장의 미래, 에너지안보, 에너지믹스, 탄소중립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문발표, 각종 전시 및 상담 등을 통해 현안 해결에 기여한 성공적 회의라고 자평하였다. 윤석열 대통령은 개막식 축사를 통해 “한국은 글로벌 리더 국가로서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책임과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대통령이 세계 LNG수입 3위, LNG저장용량 2위, LNG선박 수주 1위라고 공언한 가스업계가 주도한 이번 총회 폐막 한 달 만에 보니 뚜렷한 성과를 찾기가 어렵다. 세계 에너지 최고위급 지도자 참석도 거의 없고 외국인 참가자도 당초 예상에 못 미친다. 더욱이 지난 5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악화된 국제에너지 여건 타개에 지침이 되는 큰 화두(話頭:Issue) 제시가 없는 것 같다. 왜 이렇게 우리 집안잔치 느낌을 주는가? 잘못된 시기에 부적합 장소에서 전문성 없는 기획의 결과일 것이다. 우선 이번 대회 주제부터가 너무 고식적이다. 4년여 전에 결정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가스의 브릿지(Bridge) 역할은 지금은 애매한 개념이다. (하략) http://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675
1596
작성자
커뮤니케이션팀
작성일
2022-07-05
3414
동영상
동영상
최기련 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595
[칼럼] 직원들 번아웃 막고 싶다면 성장하는 재미를 느끼게하라
위치 확인
[김경일, 심리학과 교수] 얼마 전 동료 교수가 필자에게 이런 고충을 털어놓은 적이 있다. 핵심은 예전에는 연구가 즐거웠는데 요즘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는 이 일을 계속하는 것이 맞나 싶은 생각이 문득문득 들어 괴롭다는 이야기를 전했다. 평소 매우 가깝고 서로를 믿는 사이이기에 이 동료 교수에게 솔직하게 한 마디 했다. "연구가 즐겁다고? 그렇다면 그 결과물인 논문이 잘 나오지 않아도 연구 자체를 즐길 수 있어야 말이 되잖아? 연구 자체는 재미있지 않지. 다만 그 고단한 연구에서 나오는 논문을 통해 보람과 의미를 찾는 거잖아. 논문이 잘 나오지 않아 괴롭다가 더 정확한 표현이야. 연구는 원래부터 재미없는 거야." 다소 엉뚱한 이 말을 들은 동료 교수는 '허허' 하면서 오히려 속이 후련하다는 대답을 고마움과 함께 표했다. 그렇다. 일, 공부, 훈련 어느 하나 그 자체로 재미있는 것은 없다. 다만 우리는 그 결과물에서 보람과 의미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묵묵히 해 내는 것이다. 그런데 그 결과물이 잘 나오지 않아도 우리를 버티게 하는 것이 있다. 그것이 바로 성장감이다. 이 성장감은 결과물이나 업적이 잘 나오지 않아도 우리를 더 참게 만드는 거의 유일한 강장제다. 그런데 이 일에서 성장감마저 가지기 어려워진다면 다른 어디선가 빌려오기라도 해야 한다. 이 말의 뜻은 무엇일까? (하략)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2/06/571713/
1594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06-30
3257
동영상
동영상
김경일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