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도 장애대학생 공직설명회 참여 안내(제2차)
2025-04-23
가. 공직설명회 개요 ○ 행사일정 : 2025. 5. 23.(금) 13:30 ~ 16:30 ○ 행사장소 : 고려대학교 법학관 319호 ○ 참여기관 : 인사혁신처, 공공기관 3개소(한국마사회, 예금보험공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 참가대상 : 장애대학생(졸업생 포함), 학교 진로지도 담당자 등 나. 참가방법 ○ 신청기간 : ~ ‘25. 5. 16.(금) 18시까지 사전접수 ○ 신청방법 : 참가신청서 및 개인정보동의서 작성하여 담당자 이메일(keh486@kead.or.kr) 전송 ○ 문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직업능력평가부 김은희 전임평가사(031-728-7175)
-
2025 청년포럼 청년주도 개선활동 공모 홍보(~4.18.18시)
2025-04-17
❍ 사업명 : 2025 청년포럼 청년주도 개선활동 ❍ 활동주제 : 청년이 주도하고 변화를 만든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내 용 : 문화활동 개선사례 발굴, 장애청년정책 모니터링 ❍ 활동기간 : 2025년 5월~11월 ❍ 모집대상 : 장애인권에 관심 있는 장애·비장애 청년 - 정책모니터링팀 : 대학·청년활동가 최대 10명 - 문화권 사례발굴팀 : 3인 이상으로 구성된 팀, 총 8개 ❍ 신청방법 : rikoreayouth@rikorea.or.kr 메일접수 (~4월 23일(수) 18:00까지)
-
4월 멘토링 프로그램 "중간고사 간식 event"
2025-04-15
장애학생지원실 중간고사 간식 event!!! 장애학생 및 교육지원인력의 중간고사를 응원하며 중간고사 대비 학습정보 공유의 장 open~ 1. 날짜 : 2025.04.15.(화) 2. 시간 : 11:30~13:00 3. 장소 : 신 116-1호(장애학생 라운지) 4. 참가자 : 장애학생 및 교육지원인력 tip) 맛있는 컵밥+음료 제공~
-
[한국장애인개발원] 제5회 장애인삶 패널조사 학술대회 논문공모, 논문경진대회 및 데이터설명회 (5.9) (10.1)
2025-04-07
한국장애인개발원은 장애인삶 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활동을 활성화하고 장애인 정책 발전을 도모하고자「제5회 장애인삶 패널조사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이에 학술대회 논문공모 및 논문경진대회, 데이터 설명회 관련 사항을 안내드리오니, 관심있는 교수님 및 대학원생을 비롯한 연구자께서는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 □ 「제5회 장애인삶 패널조사 학술대회」논문공모, 논문경진대회 및 데이터설명회 ○ 학술대회 개요 - 일자/장소: 2025.10.1.(수) / 대한상공회의소(서울시 중구) - 주 제: 장애인삶 패널조사(국가승인통계 제438001호)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 발표부문: 일반부문 논문공모, 대학원생 논문경진대회 ○ 주요 내용 - 일반부문 논문공모: 7.25.(금)까지 참가신청 및 연구계획서 제출 - 대학원생 논문경진대회: 7.4.(금)까지 참가신청 및 연구계획서 제출 - 데이터 설명회: 5.9.(금) 이룸센터(서울시 영등포구) 및 온라인 생중계 진행 ○ 세부안내 및 참가신청: [장애통계데이터포털] - [학술행사] 페이지 참고 ※ 장애통계데이터포털 URL: https://koddi.or.kr/stat ○ 문의: 한국장애인개발원 정책통계팀(dldps@koddi.or.kr, 02-3433-4529)
-
2025-1학기 중간고사 지원신청 안내(4.8~4.14)
2025-04-03
2025-1학기 중간고사 지원요청 안내 장애학생지원실에서는 장애로 인해 학업 평가 시 발생 할 수 있는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해 시험편의를 지원합니다. 1.사전 상의 : 수강과목별 교수님과 시험 진행에 대해 상의한 후 첨부된 요청서를 작성하여장애학생지원실에 메일(csd@ajou.ac.kr) 로 제출 ※반드시 교수님과 사전상의 후 신청 요망 2.신청기간 : 2025.04.08.(화) ~ 04.14.(월)기간엄수!! 3. 유의사항 -첨부된 요청서 양식에 인적사항 및 요청사항을 상세히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학과(교수님)지원 : 시험 출제 방식 및 시간 연장 등 교수님과 협의 된 부분 (개별시험을 원할 경우 시험 장소와 감독자 배정을 요청해야 함) -장애학생지원실 : 학습보조기기 대여 등 (점자정보단말기 대여, 휠체어 전용 책상 배치 등) * 지원요청 사항에 대한 구분이 어렵다면 한쪽에 한꺼번에 기재 - 시험과 관련된 모든 내용은 사전에 교수님과 상의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요청서가 제출되지 않은 경우 요청 사항이 없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 지원요청서를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은장애학생지원실(031-219-1540)로 연락 바랍니다.
-
장애청년 채용 취업 정보 안내(4월 2차)
2025-04-16
기업체 장애인 채용 안내('25년 4월 2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25년 이공계 장애 '대학원생' 현장 연구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안내(2차)(~4.18)
2025-04-08
가. 참여대상 : 이공계* 장애** 석·박사과정생 또는 미취업 수료/졸업생 * 자연·공학·의학계열 대학원 재학생 및 휴학생 ** 장애 유형과 장애 수준 무관, 장애인 등록증 보유자 나. 지원내용 : 국·공립 및 정부·지자체 출연 연구기관에서 일정기간 개인 연구 수행 다. 지원규모 : 연구기간별 연구지원비(연구자인건비, 연구지도수당, 연구활동비 등) 지급 ※ 일 8시간, 주5일 근무 기준이며 실습기관 내부 규정에 따라 변동 가능 라. 신청안내 : 붙임 신청요강의 신청서, 연구계획서, 개인정보동의서 및 참가 서약서, 증빙서류등을 작성하여 2025년 4월 18일(금)까지 이메일(support@kird.re.kr) 제출 마. 문 의 처 : 경력성장실 김민지(☎042-820-4052, mjkim@kird.re.kr)
-
2025년 이공계 장애 '대학생' 현장 연구지원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안내(2차)(~4.18)
2025-04-07
가. 참여대상: 이공계* 장애** 대학생 * 자연·공학·의학계열 및 전년도 수료자, 휴학·졸업생(졸업 후 5년 내 미취업자) 포함 ** 장애 유형과 장애 수준 무관, 장애인 등록증 보유자 나. 지원내용 : 과학기술계 공공연구기관에서 일정기간 연구지원(실습) 수행 다. 지원규모 : 월 최대 250만원(법정부담금 포함) 지급 ※ 일 8시간, 주5일 근무 기준이며 실습기관 내부 규정에 따라 변동 가능 라. 신청안내 : 붙임 신청요강의 신청서, 개인정보동의서 및 참가 서약서, 증빙서류등을 작성하여 2025년 4월 18일(금)까지 이메일 (support@kird.re.kr) 제출 마. 문 의 처 : 경력성장실 이채안(☎042-820-4051, calee@kird.re.kr)
-
25년 삼성전자(DX부문) 장애인 특별전형(정규직) 모집 (~4.10)
2025-04-03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남부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25년도 삼성전자(DX부문) 장애인 특별전형(정규직)에 따른 기업연계 맞춤훈련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오니 많은 관심과 지원 바랍니다. 가. 모집부문 직군 모집전공 근무지역 연구개발직 전산/컴퓨터, 전자공학 등 관련 전공 수원/서울 품질서비스직 전공 무관 영업마케팅직 전공 무관 사무직 전공 무관 디자인직 디자인 계열 나. 고용형태 : 정규직(특별채용) 다. 선발일정 전형단계 내용 ➀사이트가입 삼성전자 채용홈페이지(http://www.samsungcareers.com/SEC) 가입 * 기 가입자는 ➁추천신청 제출만 해당 ➁추천신청 제출 ‘25.04.09.(수) 13:00 까지 이메일 제출 (ggnb@kead.or.kr) * 우편 및 방문제출 불가 ③입사지원서 제출 ‘25.04.03.(목) ~’25.04.10.(목) 17:00 까지 삼성채용 홈페이지 제출 * 지원서 생성 안내 메일 수신 후(일 1회 발송) 안내에 따라 지원서 작성 및 제출 ④서류전형 결과발표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및 이후 일정 세부 공지 ⑤직무적성검사 삼성직무적성검사(GSAT) 및 면접전형 실시 ⑥합격자발표 합격자 발표 및 입사 전 교육 안내 ⑦입사전 교육 5월 이후 약 1개월 실시(경기남부직업능력개발원 맞춤훈련) ⑧입사(예정) ‘25. 6월 이후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
장애청년 채용 취업 정보 안내(4월 1차)
2025-04-02
기업체 장애인 채용 안내('25년 4월 1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